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대차 잔고 조회 –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halongpearl.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halongpearl.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2,782회 및 좋아요 1,05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대차 잔고 조회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 – 대차 잔고 조회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대차잔고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아봅시다.
#대차잔고#대차잔액#공매도
대차 잔고 조회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공매도 – 대차 잔고 확인 : 네이버 블로그 – NAVER
공매도 잔고 확인_대차 잔고 확인 … 따라서 공매도 거래 이외의 사유로 대차잔고가 늘 수 있기 때문에, 대차잔고가 증가하였다고 해서 모든 물량이 …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1/2021
View: 4751
대차잔고 확인 방법 – JC SPIRIT, 직장인 퇴사 이후의 삶
대차잔고 조회 방법 · – 증권정보포털의 상단 메뉴바에서 주식 클릭 – · – 좌측 메뉴에서 대차거래정보 클릭 – · – 종목을 입력하여 대차잔고를 조회한다. – …
Source: jcspirit.tistory.com
Date Published: 6/15/2022
View: 9363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 (감소와 증가 의미) – 랠리포인트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 … 1. SEIBro 증권정보포털 사이트를 실행합니다. 2. 주식을 클릭합니다. 3. 대차거래정보를 누릅니다. 4. 대차종목에서 검색 …
Source: rallypoint.tistory.com
Date Published: 5/18/2021
View: 8042
대차잔고 확인 방법 알아보기 [주식 용어] – 유익한 정보
대차잔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증권사 HTS 혹은 MTS에서 대차거래 메뉴를 보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키움증권을 예로 …
Source: gefmr.tistory.com
Date Published: 3/17/2021
View: 1538
금융위원회_주식대차정보 – 공공데이터포털
주식대차종목순위, 주식종목별대차거래현황, 월별대차거래현황, 주식업종별참여현황, 내외국인대차잔고비교, 내외국인대차거래량 정보를 제공.
Source: www.data.go.kr
Date Published: 11/28/2022
View: 8842
대차잔고 확인 조회 방법(대차잔고금액 상위종목) – xoJACOBxo
대차잔고 확인방법 · 1. 먼저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접속을 합니다. <홈페이지: seibro.or.kr> · 2.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서 ‘주식’탭을 클릭합니다.
Source: xo-jacob-xo.tistory.com
Date Published: 11/15/2021
View: 175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대차 잔고 조회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https://i.ytimg.com/vi/g8nwVxTJ194/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대차 잔고 조회
- Author: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 Views: 조회수 42,782회
- Likes: 좋아요 1,050개
- Date Published: 2019. 12. 3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8nwVxTJ194
공매도 잔고 확인_대차 잔고 확인
공매도_차입공매도 공매도 잔고 확인_대차 잔고 확인 송파박 내부통제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공매도 잔고 통계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별)공매도 내역 공시 한국거래소(www.krx.co.kr) → 주식 → 종목정보 → 공매도 거래현황 통계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대차종목순위 대차종목순위 | SEIBro 종목별 대차거래 현황 주식대차 > 종목별대차거래현황 | SEIBro 대차거래내역 메인 (kofia.or.kr) 대차거래 상위 10종목 메인 (kofia.or.kr) ▣ 대차거래 공매도 비교 및 공시 대차거래, 공매도 정의 대차거래 대여자가 차입자에게 유가증권을 유상으로 빌려주고, 차임자는 계약종료시 대여자에게 동종동량의 유가증권으로 상환할 것임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거래 + 대차거래 업무취급기관 : 증권회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공매도(Short Selling) 가격하락을 예상하고 소유하지 않은 유가증권을 매도하거나 차입한 유가증권으로 결제하고자 하는 매도로 향후 저렴한 가격으로 재매입해 상환함으로써 차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 [다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차입없는 매도(Naked short sale)금지] 대차거래·공매도 관계 장외에서 주식을 대여·상환하는 거래인 대차거래와 빌려온 주식을 장내에서 매도하는 공매도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짐 차입후 매도 현재 규정상 차입없는 매도(Naked short sale)를 금지함에 따라 공매도 이전에 대차계약 체결여부에 대한 확인이 있어야 함 대차거래잔고≠공매도 예정수량 대차거래의 차입자는 차입한 주식으로 시장에서 매도하는 공매도 뿐 아니라 매매거래의 결제, 차익 해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전략 목적으로 활용 가능함 ⇒따라서, 대차거래 잔고가 추후 발생할 공매도 예정수량을 의미하지는 않음 메인 (kofia.or.kr) [KRX 정보데이터시스템>공매도 제도>Q&A] ▣ 대차잔고가 많이 쌓이면, 공매도로 출회되는 물량이 늘어난다? 반드시 그렇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대차거래는 공매도뿐만 아니라, ETF 설정, Repo 거래에 필요한 증권조달, 결제불이행 부족분 충당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우리 증시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매도 거래 이외의 사유로 대차잔고가 늘 수 있기 때문에, 대차잔고가 증가하였다고 해서 모든 물량이 공매도로 이어진다고 볼 수 없습니다. 예컨대, A종목의 대차잔고가 전일 대비 1,000주 늘었으나, 당해 물량 중 600주가 ETF 설정 목적으로, 50주가 결제불이행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활용된 경우, 공매도 대기수량은 350주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차잔고를 집계할 때 최초 대차 이후 재대차, 재재대차 정보까지 중복 집계되고 있어 대차잔고가 일정 부분 과다 계상될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증권사 A가 100주를 대차한 후, 고객인 기관투자자 B에 동 물량 중 일부인 50주를 재대차한 경우, 증권사 A가 최초 대차한 물량과 증권사 A가 고객 B에 재대차한 물량까지 합산되어 대차잔고가 150주로 집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대차잔고에는 i) 공매도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거래분이 포함되어 있고, ii) 대차잔고 집계 시 중복계산 될 여지가 있으므로, 대차잔고의 전체 수량이 공매도 대기 수량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려운 점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2030101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KRX 정보데이터시스템>공매도 제도>Q&A] ▣ 기타매도는 공매도와 어떻게 다른가요? 자본시장법은 현재 증권을 소유하고 있지 않지만, 결제일까지 소유하게 될 예정으로 결제불이행의 우려가 없는 증권의 매도를 공매도로 간주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매도 유형을 기타매도라고 부르고 있으며, 증권업계에서는 권리공매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세부적인 기타매도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권시장에서 매수계약이 체결된 상장증권을 해당 수량의 범위에서 결제일 전에 매도하는 경우 2. 전환사채·교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의 권리 행사, 유·무상증자, 주식배당 등으로 취득할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로서 결제일까지 그 주식이 상장되어 결제가 가능한 경우 3. 결제일까지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 가. 매도주문을 위탁받는 투자중개업자 외의 다른 보관기관에 보관하고 있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상장증권의 매도 나. 상장된 집합투자증권의 추가발행에 따라 받게 될 집합투자증권의 매도 다. 법 제234조에 따른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증권의 환매청구에 따라 받게 될 상장증권의 매도 라. 증권예탁증권에 대한 예탁계약의 해지로 취득할 상장증권의 매도 마. 대여 중인 상장증권 중 반환이 확정된 증권의 매도 바. 시장 외에서의 매매, 그 밖의 계약에 의하여 인도받을 상장증권의 매도 사. 법시행령 제208조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증권을 예탁하고 취득할 증권예탁증권의 매도 아. 회원이 호가를 하는 날의 장종료후 시간외시장에서 상장증권을 매수하기로 위탁자와 약정한 경우로서 해당 수량 범위에서의 상장증권의 매도 자본시장법 제180조(공매도의 제한) ① 누구든지 증권시장(다자간매매체결회사에서의 증권의 매매거래를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에서 상장증권(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에 한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매도(이하 “공매도”라 한다)를 하거나 그 위탁 또는 수탁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로서(이하 “차입공매도”라 한다) 증권시장의 안정성 및 공정한 가격형성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르는 경우에는 이를 할 수 있다. <개정 2013.5.28., 2016.3.29.> 1. 소유하지 아니한 상장증권의 매도 2. 차입한 상장증권으로 결제하고자 하는 매도 ② 제1항 본문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공매도로 보지 아니한다 . 1. 증권시장에서 매수계약이 체결된 상장증권을 해당 수량의 범위에서 결제일 전에 매도하는 경우 2. 전환사채ㆍ교환사채ㆍ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의 권리 행사, 유ㆍ무상증자, 주식배당 등으로 취득할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로서 결제일까지 그 주식이 상장되어 결제가 가능한 경우 3. 그 밖에 결제를 이행하지 아니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208조(공매도의 제한) ③ 법 제180조제2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매도로서 결제일까지 결제가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개정 2009.2.3.> 1. 매도주문을 위탁받는 투자중개업자 외의 다른 보관기관에 보관하고 있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상장증권의 매도 2. 상장된 집합투자증권의 추가발행에 따라 받게 될 집합투자증권의 매도 3. 법 제234조에 따른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증권의 환매청구에 따라 받게 될 상장증권의 매도 4. 증권예탁증권에 대한 예탁계약의 해지로 취득할 상장증권의 매도 5. 대여 중인 상장증권 중 반환이 확정된 증권의 매도 6. 증권시장 외에서의 매매에 의하여 인도받을 상장증권의 매도 7. 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증권을 예탁하고 취득할 증권예탁증권의 매도 8. 그 밖에 계약, 약정 또는 권리 행사에 의하여 인도받을 상장증권을 매도하는 경우로서 증권시장업무규정으로 정하는 경우 기타매도 기타매도 개념 기타매도 정의 공매도 기타매도 기타매도 공매도 대차거래 공매도 공매도 대차거래 공매도 확인 종목별 공매도 현황 대차거래 상위 10종목 종목별 공매도 잔고 종목별 대차잔고 대차 공매도 공매도 대차 공매도 사이트 개별종목 공매도 종합정보 개별종목 공매도 잔고 공매도 확인 사이트 공매도 잔고 상위종목 공매도 잔고 상위 50종목 대차거래 내역 대차잔고 대차거래 사이트 기타매도 종류 기타매도 범위 기타매도 내용 공매도 확인 대차거래 확인 공매도 거래량 공매도 잔고 대차 거래량 대차 잔고 인쇄
대차잔고 확인 방법
반응형
5월 3일부터 공매도가 재개됩니다. 저는 어떤 식으로든 시장에 impact를 줄 수밖에 없다고 보는 입장인데, 공매도가 무엇인지, 공매도 현황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는 아래와 같이 예전에 글을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자신이 투자한 회사에 공매도 잔고 수량을 확인해 보는 것도 좋겠죠.
2020.03.16 – [소비와 투자] – 주식 시장_공매도의 뜻, 매매 방식에 대한 이해와 공매도 현황 확인 방법
위에 작성한 글에서 알 수 있듯이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주식을 대여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공매도를 하기 위해 대여한 주식의 수량을 확인한다면 또 투자에 도움이 되겠죠? 이러한 거래를 대차거래라고 하고, 대차거래 잔고, 즉, 대차잔고를 확인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대차잔고 조회 방법
1. 아래의 증권정보포털로 이동합니다.
seibro.or.kr/websquare/control.jsp?w2xPath=/IPORTAL/user/index.xml
2. 상단 메뉴바에서 주식을 선택합니다.
– 증권정보포털의 상단 메뉴바에서 주식 클릭 –
3. 그 다음 나오는 화면에서 좌측에 대차거래정보를 클릭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대차거래정보 클릭 –
4. 이후 나오는 화면에서 대차종목에 종목명을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합니다. 조회기간 역시 설정이 가능하며, 일별로 나오는 숫자와 함께 그래프로 표현되는 대차잔고 추이를 함께 확인하면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매도 현황 및 공매도 잔고수량과 함께 비교한다면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되겠지요.
– 종목을 입력하여 대차잔고를 조회한다. –
참고로, 개인대주제도가 시행되기 때문에 사전교육과 모의거래를 수료하면 개인도 주식 대여가 가능합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성공 투자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 (감소와 증가 의미)
대차잔고란 주식의 공매도 투자를 하기 위해서 대여한 주식의 총 수를 뜻합니다. 한국 시장의 경우 무차입 공매도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반드시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대차거래를 통해서 주식을 빌려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매도 이전에 대차잔고의 추이를 통해서 비교적 정확한 향 후 공매도량을 추측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투자 판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주변 지인들에게 항상 공매도량만 체크하지 말고 대차잔고를 함께 보며 추이를 파악해야 정확하다라는 소리를 자주 하곤 합니다. 중요도로 따지면 한국시장에서 공매도의 영향은 절대적임으로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을 숙지하셔서 투자에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주식 대차잔고 개념
2.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
3. 대차잔고 감소 증가 의미
주식 대차잔고 개념
주식시장에서는 내가 직접 매수를 하지 않고 타인의 주식을 빌려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입을 해야만 하는 공매도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투자전략에 따라서 해지, 차익거래 등의 다른 운용전략을 요구하기 위해서도 대차거래를 통해 대차잔고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 때 당연하겠지만 빌린자는 수수료를 지불하고 빌려준자는 수수료의 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에게 유명한 “주식 대여 서비스”가 바로 주식 대차거래의 대여자가 됩니다. 주식을 대여해줌으로서 공매도를 하고 싶은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빌려주고 소정의 대여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대차잔고의 개념에서도 수요와 공급의 원칙이 작용됩니다.
– 대차잔고가 늘어나면 수수료 증가 ↑
– 대차잔고가 줄어들면 수수료 감소 ↓
따라서 공매도가 적은 종목의 경우에는 주식대여 수수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기관은 부담없이 많은 물량을 빌려서 공매도를 이용한 차익거래를 사용하기가 수월하며, 이미 공매도가 많은 종목의 경우 빌린 주식의 수수료가 높기 때문에 부담을 가지고 숏커버링(대여 주식을 갚는 것)의 압력이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대여수수료뿐만 아니라 현재 주가수준에 따라서 폭락이 심할 경우 공매도를 상환하는 일도 있겠죠.
그래서 결국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으로 유의깊게 볼 부분은 잔고량이 증가추세인지 감소추세인지 파악하고 현재 주가상황과 공매도를 보며 앞으로 공매도가 증가할지, 공매도가 줄어들지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대차잔고 확인 방법
1. SEIBro 증권정보포털 사이트를 실행합니다.
2. 주식을 클릭합니다.
3. 대차거래정보를 누릅니다.
4. 대차종목에서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보고 싶은 종목을 입력하고 선택합니다.
6. 대차잔고 기간을 선택하고 조회를 누르면 대차잔고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그래프 아래에서는 일자별 대차체결량, 대차상환량, 총 대차잔고주수를 볼 수 있습니다.
8. 아래에서 엑셀다운로드로 데이터 값을 받아 투자 자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대차잔고 감소 증가 의미
① 대차잔고 증가 의미
– 해당 종목에 공매도가 늘어날 수 있음.
– 대여 주식 수수료가 비싸짐.
– 주가 하락 확률이 높아짐.
② 대차잔고 감소 의미
– 해당 종목에 공매도가 줄어들 수 있음. (숏커버링/상환)
– 대여 주식 수수료가 저렴해짐.
– 주가 상승 확률이 높아짐.
보통 대차잔고가 증가 추세일 경우 주가 하락이 예상됨으로 매도, 대차잔고가 하락 추세일 경우 주가 상승이 예상됨으로 매수합니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대차잔고의 비중이 줄어듬에도 공매도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대차잔고의 비중이 커져감에도 공매도가 상환추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주가수준, 이벤트, 공매세력의 평단가 등을 함께 고려하여 매매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대차잔고 확인 방법 알아보기 [주식 용어]
2021년 5월 3일부터 한국 증시에서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각 종목별 대차잔고 추이에 시선이 몰리고 있습니다. 5월부터 한국 증시 대차잔고는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인데, 투자자들은 특히 대차잔고가 갑자기 늘어나는 종목에 주의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차잔고의 의미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대차잔고 의미
주식 대차잔고는 투자자가 공매도를 위해 주식을 빌린 후 아직 상환하지 않은 물량을 의미합니다. 금액을 말할 때는 대차잔액이라고 합니다. 어떤 종목의 대차잔고가 증가하는 것은 해당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남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주가 하락을 예상하며, 공매도 포지션을 늘리고 있기 때문에 대차잔고가 증가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반면 대차잔고가 감소하는 것은 주가 상승을 예상하며, 공매도 포지션을 줄이는 투자자들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대차잔고가 늘어난다고 반드시 주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할 때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경우 이외에 헤지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대차잔고 확인 방법
대차잔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증권사 HTS 혹은 MTS에서 대차거래 메뉴를 보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키움증권을 예로 들겠습니다.
키움증권 HTS의 경우 대차거래는 1060번 창에서 볼 수 있습니다. 1060번 창의 ‘대차거래내역’ 메뉴에서 기준일자를 설정하면 코스피, 코스닥 종목별 대차잔고 수량과 금액을 볼 수 있습니다. 당일 자료는 오후 8시 이후부터 볼 수 있으니 이 시간 이전에는 전 영업일을 기준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처럼 기준일자를 설정하고 조회를 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종목별 대차거래잔고가 나옵니다. 처음에는 대차거래잔고 수량 순위대로 정렬이 되어 있는데, 대차잔고 금액 순위를 보고 싶으면 ‘대차거래잔고’ 아래의 ‘금액’을 마우스로 한 번 클릭하면 됩니다.
대차거래내역 (출처: 키움증권)
5월 18일 기준으로 코스피 대차잔고 금액 1위는 삼성전자이고, 다음은 셀트리온, SK하이닉스, NAVER, KODEX 200 ETF, 카카오, 현대차, HMM 순입니다. 코스닥의 경우 1위는 셀트리온헬스케어이고, 다음은 에이치엘비, 씨젠, 케이엠더블유, 셀트리온제약, 카카오게임즈, 알테오젠, 엘앤에프 순입니다.
또한, ‘대차거래내역’ 옆에 있는 ‘대차거래추이’ 메뉴를 누르면 특정 종목의 대차잔고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스마트폰 앱은 주식 – 투자자별 – 대차거래추이 에서 확인 가능). 이 화면에서 종목, 기간을 선택하면 해당 기간 동안 그 종목의 대차잔고 추이가 나옵니다.
대차잔고의 증가, 감소는 향후 주가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입니다. 다만 이를 통해 주가 향방을 단정 지을 수는 없으니 다른 지표(산업 전망, 실적 전망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장후시간외거래 – 주식 시간외 단일가 매매 거래방법 (키움 HTS)
결과코드 resultCode 2 필 00 결과코드
결과메시지 resultMsg 50 필 NORMAL SERVICE. 결과메시지
한 페이지 결과 수 numOfRows 4 필 1 한 페이지 결과 수
페이지 번호 pageNo 4 필 1 페이지 번호
전체 결과 수 totalCount 10 필 4270627 전체 결과 수
기준일자 basDt 8 필 20200303 작업 또는 거래의 기준이 되는 일자(년월일)
ISIN코드 isinCd 12 옵 025870 국제 채권 식별 번호. 유가증권(채권)의 국제인증 고유번호
대차증권구분코드 lnbScrtDcd 2 옵 21 대차 증권이 주식인지, 채권인지등을 구분하는 코드
대차증권구분코드명 lnbScrtDcdNm 100 옵 주식 대차 증권이 주식인지, 채권인지등을 구분하는 코드의 명칭
ISIN코드명 isinCdNm 200 옵 신라에스지 유가증권 국제인증 고유번호 코드 이름
대차체결주식수 lnbCclStckCnt 18 옵 0 대차(증권회사가 고객과의 신용거래에 필요로 하는 돈이나 주식을 증권금융회사가 대출하는 거래)를 체결한 주식의 수량
리콜상환주식수 rcalRdptStckCnt 18 옵 0 상환 요청한 상환주식의 수량
상환주식수 rdptStckCnt 18 옵 0 상환한 주식의 수량
대차잔여주식수 lnbRmanStckCnt 18 옵 34272 대차(증권회사가 고객과의 신용거래에 필요로 하는 돈이나 주식을 증권금융회사가 대출하는 거래) 거래후 남은 주식의 수량
대차잔고 확인 조회 방법(대차잔고금액 상위종목)
1년 2개월 만에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대차잔액이 늘어난 종목은 공매도 거래가 가장 활발해질 수 있는 1순위 대상으로 보고 있는데요. 오늘 이야기할 대차잔고 확인 조회가 중요한 이유는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무차입 공매도가 사실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공매도가 이루어질려면 해당 물량만큼 미리 빌려야 하는데, 공매도 재개일에 맞춰 대차잔액이 급증한 종목은 공매도 거래를 위해 미리 주식을 빌렸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이 말은 즉 대차잔고 비율이 높은 기업 중 실제로 주가가 하락한 기업은 공매도가 그만큼 많았다는 것이기 때문에 공매도에 투자했던 개인투자자들이 다시 주식을 사게 되면 주가가 오를 확률이 아주 높아지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공매도 투자를 하기 전 대차잔고 확인을 반드시 하셔야 합니다.
대차거래란?
주식 실 소유자가 차입자 즉 주식을 빌려서 공매도 하려는 자에게 유가증권을 유상으로 대여해주고, 차입자는 계약 종료 시 대여자에게 동일 주식을 동일 수량만큼 상환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이렇게 대차거래라는 것이 대여자와 차입자가 있는데 보통 기관에서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차거래를 통해 주식을 대여하게 되면 대차잔고가 늘게 되고, 주식을 다시 사서 상환하게 되면 대차잔고는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대차잔고가 늘게 되는 경우는 공매도를 통해 대여하는 주식으로 인해 잔고가 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상환하게 되면 대차잔고는 줄게 되는 것이죠.
대차잔고와 공매도의 연관성
그럼 대차잔고와 공매도는 도데체 무슨 연관성이 있길래 중요한가?
대여자가 차입자에게 주식을 대여하면 대차잔고가 늘게 되고, 여기서 차입자가 공매도를 진행하게 되면 공매도 잔고가 늘게 되죠. 이제 다시 주식시장에서 숏커버링으로 재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공매도 잔고는 줄어들고 차입자가 주식을 최종 상환하게 되면 대차잔고는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설명이 다소 어려울 수 있는데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면 공매도 잔고와 대차잔고가 동시에 준다는 의미는 대여한 주식을 상환하는 숏커버링 물량일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그래서 대차잔고와 공매도 잔고가 동시에 감소한 기업은 주가에 긍정적인 확률이 높게 되죠.
대차잔고 확인방법
공매도와 대차잔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듯이 대차잔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접속을 합니다. <홈페이지: seibro.or.kr>
2.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서 ‘주식’탭을 클릭합니다.
3. 왼쪽 주식 메뉴 항목에서 ‘대차거래정보’를 클릭합니다.
4. 대차 종목란에 본인이 검색하시고자 하는 종목을 입력하시고, 조회 기간까지 설정을 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검색 결과가 나타나는데요. 그래프를 보시면 대차잔고가 급격히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를 보실 때 이와 같이 대차잔고와 공매도가 동시에 상승한 지표일 경우에는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차거래정보
▣ 주식대차 대차잔고금액 상위종목
주식대차 대차잔고금액 상위 10 종목을 보시기 편하게 나열해 드릴게요. 상위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대차 대차잔고금액 상위 10종목
참고로, 대차잔고 종목만 보실게 아니라 공매도 대상 종목 및 상위종목도 반드시 보셔야 합니다. 공매도 대상종목 및 상위종목은 아래 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식대차 대차잔고금액 상위 1~30위 종목
주식대차 대차잔고금액 상위 30종목
맺음말
지금까지 대차잔고 확인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대차거래 목적의 대부분은 공매도를 이용한 단기 시세차익이기 때문에 대차잔고가 늘었다는 것은 언제든지 매입한 주식이 공매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언제 대차상환이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가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차잔고만 보고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것도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와 대차잔고의 연관성을 잘만 파악하셔도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많이 줄어들게 할수 있습니다. 오늘 내용 잘 참고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라며 이만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대차 잔고 조회
다음은 Bing에서 대차 잔고 조회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
- #너무
- #쉬운
- #매경테스트
- #매경
- #경제
- #경제기사
- #기회
- #기회비용
- #너무경
- 학개론
- 부동산학개론
- 경제
- 너무경
- 쉬운
- 윤성종
- 쉽다
- 31회
- 30회
- 공인중개사
- 중개사
- 부동산공시법
- 공시법
- 등기법
- 지적법
YouTube에서 대차 잔고 조회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16]대차잔고와 대차잔액 | 공매도 물량인가? | 대차 잔고 조회,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