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손해 배상 공제료 –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halongpearl.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halongpearl.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나는변호사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147회 및 좋아요 5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김세라변호사의 나는변호사다 제231화
– 손해배상청구소송 궁금증 다 알려드립니다!
▶ 법률상담 예약안내(유료, 예약방문제)
– 전화) T. 02-585-2927| P. 010-6833-2927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주소)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286, 서초프라자 802호 법률사무소 예감
–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m/startlrah
#통상손해 #손해배상청구방법 #손해배상위자료
——————————————————-
[Video Source Support]icons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나눔템플릿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엔지니어링손해배상보험또는공제업무처리요령
제6조(보험 또는 공제 가입금액) ① 보험 또는 공제의 가입금액은 엔지니어링사업의 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보험료 또는 공제료를 제외한 금액(이하 “순 …
Source: www.law.go.kr
Date Published: 7/5/2021
View: 5349
엔지니어링 손해배상보험·공제 의무가입제도 안내서
엔지니어링사업의 계약금액 – (손해배상공제료 + 부가가치세). ☞ 공제(보험)료. – 공제(보험) 가입에 따른 비용으로 발주청은 사업설계 시에 사업대가에 계상(計上) …
Source: www.asan.go.kr
Date Published: 4/21/2021
View: 8032
설계등 용역 손해배상보험(공제)제도 정책정보 상세보기
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5호 설계ㆍ감리 등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 업무요령 제4조 3항) …
Source: www.molit.go.kr
Date Published: 2/14/2021
View: 9595
설계·감리손해배상공제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공제료를 제외한 금액(이하 순계약금액)으로 한다. ◇ 자기부담금 자기부담금은 공제가입금액의 100분의1로 하되, …
Source: www.keea.or.kr
Date Published: 3/28/2021
View: 1067
업무안내 – 건설엔지니어링공제조합
순계약금액은 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보험료 또는 공제료를 제외한 금액임. 요율표상의 금액별 요율은 구간요율임. 발급건당 최저 수수료는 10,000원임.
Source: www.cefc.kr
Date Published: 8/25/2022
View: 8188
설계 등 용역 손해배상보험(공제)제도 – 건설기술정보시스템
배상이 되는 손해 : 발주청 또는 제3자에게 재산상의 손해 발생시 … 가입금액 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기본ㆍ실시설계를 같은 …
Source: www.codil.or.kr
Date Published: 5/20/2022
View: 6461
설계·감리 등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 업무요령
이 경우 보험개발원과 공제조합은 사전에 건설교통부장관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②발주청은 용역업자가 제출한 입찰금액 산출내역서상의 보험료 또는 공제료와 손해보험 …
Source: www.csr.co.kr
Date Published: 1/23/2021
View: 9921
산 출 내 역 서
손해보험료. 전시시설 … 공제료. 26,600,000. 0.67. 178,220. 2단계. 공제료. 26,600,000. 0.16. 42,560. 합 계. 엔지니어링 공제조합 손해배상보험·공제 요율.
Source: www.gg.go.kr
Date Published: 5/4/2021
View: 369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손해 배상 공제료
- Author: 나는변호사다
- Views: 조회수 2,147회
- Likes: 좋아요 50개
- Date Published: 2022. 5. 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vfCz5SG2Uuk
손해배상공제업무 안내
제도의 개념
보험 또는 공제계약자인 설계 감리업자가 설계 또는 감리용역을 수행함에 있어 고의 또는 과실로 당해 용역목적물 또는 제3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보험 또는 공제 금액을 한도록 하여 법률상의 배상책임손해액을 배상하여 주는 제도
도입배경
설계 감리업체는 타 분야보다 규모면에서 영세하여 부실설계 감리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피해복구 부담이 상대적으로 큼에 따라 이러한 업체의 부담을 완화하고, 발주자의 선의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보험 또는 공제제도의 도입
시행일 : 2003년 3월 26일
가입대상 : 전력기술관리법 제14조의2 제1항 및 제3항과 동법시행령 제27조의5의 규정에 의한 전력시설물의 기본·실시설계용역 및 공사감리용역
가입규정 안내
구 분 내 용 관련근거 적용대상 아래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발주하는 전력시설물주석1)의 설계·
감리용역계약
1. 국가
2. 지방자치단체
3.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투자 기관
4.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 주석2) 전력기술관리법
제14조의2 제1항 가입규정 설계·감리업자가 설계·감리용역계약을 이행함에 있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당해 용역목적물 또는 제3자에게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에는 이를 배상하여야 하고, 그를 위해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전력기술관리법
제14조의2 제3항 가입방식 ◇ 가입대상
가. 전력시설물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나. 전력시설물의 공사감리
◇ 가입금액
가. 전력시설물의 기본 및 실시설계의 계약금액
나. 전력시설물의 공사감리 계약금액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27조의5제1항 가 입
세부사항 ◇ 공제의 종류
가. 기본설계공제
나. 실시설계공제
다. 공사감리공제
◇ 공제가입금액
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손해배상공제료를 제외한 금액(이하 순계약금액)으로 한다.
◇ 자기부담금
자기부담금은 공제가입금액의 100분의1로 하되, 1천만원을 초과하지 아니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20-93호 제5장
설계·감리용역 손해배상
공제업무
주석 1) “전력시설물”이라 함은 전기사업법 제2조제14호의 규정에 의한 전기설비로, 발전ㆍ송전ㆍ변전ㆍ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기계ㆍ기구ㆍ댐ㆍ수로ㆍ저수지ㆍ전선로ㆍ보안통신선로 기타의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을 말한다. 가. 전기사업용전기설비
나. 일반용전기설비
다. 자가용전기설비 주석 2)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라 함은 다음 각호의 자를 말한다.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기관
2.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투자기관(이하 “정부투자기관”이라 한다)이 위탁한 사업의 시행자
3.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정부투자기관이 관계법령에 의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시설물의 사업시행자
4.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의 사업시행자
5. 전기사업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전기사업자
(전기사업자라 함은 발전사업자ㆍ송전사업자ㆍ배전사업자 및 판매사업자를 말한다)
6. 관련근거 [전력기술관리법 제14조의2 제1항, 제3항 및 법시행령 제27조의5조]
제14조의 2(설계·감리업자 선정 등)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그가 발주하는 전력시설물의 설계·공사감리용역중 「국가를 당사자로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4조의 규정에 의한 고시금액 이상의 사업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집행계획을 작성하여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1.국가
2.지방자치단체
3.「정부투자기관 관리기본법」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투자기관
4. 그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 ③ 설계·감리업자가 설계·공사감리용역계약을 이행함에 있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당해 용역목적물 또는 제3자에게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에는 이를 배상하여야 하고 그 배상을 담보하기 위하여 설계·감리업자는 보험 또는 제18조의2의 규정에 의한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발주자는 보험 또는 공제가입에 따른 비용을 용역비용에 계상하여야 한다. 제27조의 5(설계·감리업자의 손해배상) ① 제27조의 5(설계·감리업자의 손해배상) ①법 제14조의 2제3항의 규정에 의한 보험 또는 공제의 가입기간① 가입대상 및 가입금액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가입기간 : 전력시설물공사의 착공일부터 완공일까지의 기간
2. 가입대상 가. 전력시설물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나. 전력시설물의 공사감리 3. 가입금액 가. 전력시설물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의 계약금액, 다만, 발주자는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같은 설계 업자가 수행하는 경우에는 기본설계에 해당하는 보험 또는 공제에의 가입금액 상당액을 감액할 수 있다.
나. 전력시설물의 공사감리 계약금액 ② 설계·감리업자는 당해 전력시설물공사의 착공 전에 보험증서 또는 전력기술인단체가 발행하는 공제증서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보험 또는 공제의 가입금액 산출방법·가입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산업자원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본조신설 2002.12.11
7. 공제가입한도 : 제한없음
8. 공제증권 신청 및 발급
공제증권 신청 및 발급 → 접수 및 심사 → 공제료 납부 → 공제증권교부
9. 공제요율
설계·감리용역 손해배상공제요율표(2020.07.01 개정) 요율표 다운로드
가. 기본설계요율
공사종류 용역금액(계약금액) 표준
공사
기간(년) 5억원이하 5억원초과
10억원이하 10억원초과
20억원이하 20억원초과
30억원이하 30억원초과
50억원이하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전기 공사 부문 발전설비 0.511 0.081 0.496 0.079 0.481 0.077 0.467 0.074 0.452 0.072 3 송전설비 0.359 0.056 0.348 0.055 0.338 0.053 0.327 0.051 0.317 0.05 2 변전설비 0.359 0.056 0.348 0.055 0.338 0.053 0.327 0.051 0.317 0.05 2 배전설비 0.348 0.057 0.338 0.056 0.328 0.054 0.317 0.052 0.308 0.05 2 건축물 등의 전기설비 0.351 0.059 0.341 0.057 0.33 0.055 0.32 0.053 0.311 0.052 3 “공항,항만 전기설비” 0.469 0.077 0.455 0.075 0.441 0.073 0.428 0.071 0.415 0.068 4 지하철공사 0.596 0.095 0.578 0.092 0.561 0.089 0.545 0.086 0.529 0.084 4 기타 전기설비 0.287 0.046 0.278 0.044 0.269 0.043 0.262 0.042 0.254 0.041 1 “터널,댐,교량” 0.589 0.095 0.571 0.092 0.554 0.089 0.537 0.086 0.521 0.084 4 전기철도 및 철도신호공사 0.374 0.06 0.362 0.059 0.352 0.057 0.341 0.056 0.331 0.055 3 관람집회시설공사 0.289 0.046 0.28 0.044 0.272 0.044 0.263 0.042 0.254 0.041 3 전시시설공사 0.289 0.046 0.28 0.044 0.272 0.044 0.263 0.042 0.254 0.041 2 공용청사건설공사 0.346 0.056 0.336 0.053 0.326 0.052 0.315 0.05 0.305 0.049 3 도로 0.433 0.069 0.42 0.067 0.407 0.065 0.394 0.063 0.38 0.061 3
1) 기타 전기설비공사 : 전기기계, 기구 설치공사 또는 건축, 토목공사용 가설(임시)전기공사 기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설비공사
2) 순계약금액 50억원을 초과하는경우 또는 공제가입기간이 5년초과하는 경우에는 구득요율로 한다.
3) 공제가입기간이 공사기간+1년인 경우 위 공제요율에서 16%를 할증한 요율을 적용한다.
나. 실시설계요율
공사종류 용역금액(계약금액) 표준
공사
기간(년) 5억원이하 5억원초과
10억원이하 10억원초과
20억원이하 20억원초과
30억원이하 30억원초과
50억원이하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전기 공사 부문 발전설비 0.729 0.117 0.708 0.112 0.685 0.109 0.663 0.106 0.641 0.102 3 송전설비 0.511 0.082 0.495 0.079 0.479 0.076 0.464 0.074 0.449 0.072 2 변전설비 0.511 0.082 0.495 0.079 0.479 0.076 0.464 0.074 0.449 0.072 2 배전설비 0.511 0.082 0.495 0.079 0.479 0.076 0.464 0.074 0.449 0.072 2 건축물 등의 전기설비 0.492 0.078 0.477 0.076 0.462 0.074 0.447 0.072 0.433 0.069 3 “공항,항만 전기설비” 0.697 0.111 0.676 0.108 0.654 0.105 0.634 0.101 0.614 0.097 4 지하철공사 0.855 0.136 0.829 0.132 0.803 0.128 0.778 0.124 0.752 0.12 4 기타 전기설비 0.429 0.069 0.417 0.066 0.405 0.065 0.392 0.063 0.38 0.061 1 “터널,댐,교량” 0.855 0.136 0.829 0.132 0.803 0.128 0.778 0.124 0.752 0.12 4 전기철도 및 철도신호공사 0.547 0.087 0.53 0.085 0.514 0.083 0.498 0.079 0.481 0.077 3 관람집회시설공사 0.41 0.065 0.398 0.063 0.386 0.061 0.373 0.06 0.361 0.057 3 전시시설공사 0.41 0.065 0.398 0.063 0.386 0.061 0.373 0.06 0.361 0.057 2 공용청사건설공사 0.492 0.078 0.477 0.076 0.462 0.074 0.447 0.072 0.433 0.069 3 도로 0.615 0.098 0.596 0.096 0.578 0.092 0.56 0.089 0.541 0.087 3
1) 상동
2) 상동
3) 상동
다. 공사감리요율
공사종류 용역금액(계약금액) 표준
공사
기간(년) 5억원이하 5억원초과
10억원이하 10억원초과
20억원이하 20억원초과
30억원이하 30억원초과
50억원이하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기본(%) 가산(%) 전기 공사 부문 발전설비 0.838 0.134 0.813 0.129 0.788 0.126 0.763 0.122 0.738 0.118 3 송전설비 0.587 0.094 0.569 0.091 0.551 0.088 0.534 0.085 0.516 0.083 2 변전설비 0.587 0.094 0.569 0.091 0.551 0.088 0.534 0.085 0.516 0.083 2 배전설비 0.587 0.094 0.569 0.091 0.551 0.088 0.534 0.085 0.516 0.083 2 건축물 등의 전기설비 0.565 0.09 0.549 0.087 0.532 0.085 0.515 0.083 0.498 0.08 3 공항.항만 전기설비 0.801 0.128 0.778 0.124 0.753 0.12 0.73 0.117 0.705 0.113 4 지하철공사 0.984 0.157 0.954 0.152 0.925 0.148 0.895 0.143 0.866 0.138 4 기타 전기설비 0.584 0.091 0.567 0.088 0.55 0.086 0.533 0.083 0.518 0.08 1 터널.댐.교량 0.984 0.157 0.954 0.152 0.925 0.148 0.085 0.143 0.866 0.138 4 전기철도 및 철도신호공사 0.629 0.1 0.609 0.097 0.592 0.095 0.573 0.092 0.553 0.088 3 관람집회시설공사 0.472 0.075 0.458 0.073 0.444 0.07 0.43 0.069 0.416 0.066 3 전시시설공사 0.472 0.075 0.458 0.073 0.444 0.07 0.43 0.069 0.416 0.066 2 공용청사건설공사 0.565 0.09 0.549 0.087 0.532 0.085 0.515 0.083 0.498 0.08 3 도로 0.708 0.113 0.686 0.109 0.665 0.106 0.644 0.102 0.622 0.1 3
1) 상동
2) 상동
3) 상동
설계·감리등 용역손해배상공제 요율서
적용범위 가. 이 요율은 설계·감리손해배상공제약관으로 인수하는 계약에 대하여 적용한다.
나. 이 요율서에 제시된 요율은 각 위험적용단위별 영업공제료(율)을 제시한 것이다.
다. 이 요율서에 제시된 요율은 순계약금액 50억 미만의 경우에 적용하며 순계약금액 50억 초과시 구득요율로 적용한다.
요율의 제정, 변경 또는 폐지 요율 또는 규정이 제정, 변경 또는 폐지된 경우에는 그 시행일 이후를 책임개시일로 하는 공제계약에 이를 적용하고, 현재 공제기간 중도에 있는 공제계약에 대하여는 공제료를 추징하거나 환급하지 않는다.
공제료의 산출기초 가. 공제료산출기초(보상한도액)는 순계약금액(용역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와 설계·감리손해배상공제(공제)료를 제외한 금액, 이하 “순계약금액”이라 한다)으로 한다.
나. 공제기간중 용역계약금액이 증감된 때에는 보상한도액을 증액 또는 감액 할 수 있다. 다만, 용역계약금액이 증감되는 경우로서 증감된 순계약금액이 공제계약시 보상한도액의 100분의 10이내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적용 공제료의 계산 가. 공제계약기간이 표준공사기간 이내인 경우
순계약금액 × 기본요율(용역금액별, 공종별 요율적용)
나. 공제계약기간이 표준공사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순계약금액 × 〔기본요율 + 가산요율 × (표준공사기간 초과일수 / 365)〕
다. 공제료는 용역금액 구간별 요율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산출한 총합계공제료를 적용공제료로 한다.
공제료의 표시 가. 공제료의 표시는 매계약당 원단위를 기준으로 한다.
나. 확정공제료의 표시는 1,000원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이를 백원단위에서 절사한다.
최저공제료 가. 1공제계약에 대한 최저공제료는 매 계약당 1,000원으로 한다.
나. 공제료를 환급하는 경우 납입된 공제료에서 환급공제료를 공제한 잔액에 대하여도 이를 적용한다. 다만, 공제계약의 갱신으로 인하여 공제료를 환급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자기부담금 자기부담금은 보상한도액의 1%로 하되, 1,000만원을 초과하지 아니한다
손해배상공제 공제료 산정방법(예시)
키워드에 대한 정보 손해 배상 공제료
다음은 Bing에서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 손해배상청구소송
- 통상손해
- 손해배상 청구 방법
- 손해배상 산정방법
- 위자료 계산법
- 손해배상청구
- 채무불이행 손해배상
-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
- 불법행위 손해배상
- 손해배상변호사
- 손해배상액
- 민사전문변호사
- 사시출신변호사
- 법률사무소 예감
- 김세라변호사
- 손해배상청구소송 절차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YouTube에서 손해 배상 공제료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꼭 알아야 할 손해배상 산정방법, 위자료 계산은? | 손해 배상 공제료,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